[무역 실무] 부산 신항 및 북항 터미널 반입제한: 장치장 코드와 대응 팁
2025. 3. 15. 18:14ㆍ포워딩
부산항은 한국 수출입 물류의 핵심 허브입니다. 신항과 북항 터미널의 반입제한과 장치장 코드는 물류 업무에서 절대 놓쳐선 안 되는 요소죠. 모선 접안 일정은 날씨, 선석 혼잡 등으로 변동이 잦아, 반입 일정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터미널별 반입제한 정보와 실무 팁을 정리했습니다.
1. 신항 터미널 반입제한 및 장치장 코드
부산 신항의 주요 터미널별 반입제한과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DGT (동원글로벌터미널)
- 장치장 코드: 03077135
- 반입제한: 없음 / GOOD
- PNIT (부산신항국제터미널)
- 장치장 코드: 03077013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3일
- PNC (부산신항만 주식회사)
- 장치장 코드: 03077102
- 반입제한: 드라이 4일 (일요일 제외, 예: 화요일 접안 → 금요일 반입 가능), 리퍼 3일 (일요일 제외)
- BCT (부산컨테이너터미널)
- 장치장 코드: 03077126
- 반입제한: 없음 / GOOD
- BNCT (비엔씨티)
- 장치장 코드: 03077026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4일
- HJNC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
- 장치장 코드: 03077006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4일
- HPNT (현대부산신항만)
- 장치장 코드: 03077011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4일
신항의 특징
신항은 선반입권 시스템이 있어 추가 비용으로 반입 기한을 최대 9일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 부담 때문에 반입제한 내 처리하려는 경향이 강하죠.
2. 북항 터미널 반입제한 및 장치장 코드
북항 터미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CT (부산항터미널 신선대)
- 장치장 코드: 03012226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3일 (일요일 제외, 예: 월요일 접안 → 금요일 반입 가능)
- BIT (부산항터미널 감만)
- 장치장 코드: 03077016
- 반입제한: 3일 (일요일 제외)
- HGCT (신감만 한국허치슨)
- 장치장 코드: 03012010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3일
- HBCT (허치슨부산터미널)
- 장치장 코드: 03012240
- 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3일
북항의 한계
북항은 선반입권 시스템이 없어 일정 변동 시 대처가 더 까다롭습니다.
3. 반입제한이 물류에 미치는 영향
모선 접안 일정은 날씨, 파도, 선석 혼잡 등으로 수시로 변경됩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컨테이너 반입 일정도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에요. 반입제한이 없는 터미널(DGT, BCT 등)은 드물고, 아이러니하게도 여유 화물만 이런 곳으로 가는 경우가 많죠(머피의 법칙!).
실무에서의 고민
- 장치장 코드 활용: 수출 신고 시 코드가 필요하며, 반입 시 제한에 걸리면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일정 관리: 모선 스케줄을 실시간 확인하고 선적 과정을 꼼꼼히 체크해야 오류를 줄일 수 있어요.
4. 대응 전략: 실무 팁
부산 신항 반입제한과 북항 터미널 코드를 다룰 때 다음 팁을 참고하세요:
- 스케줄 모니터링: 모선 일정 변동을 매일 확인.
- 사전 확인: 반입제한과 장치장 코드를 미리 점검해 반입 불가 상황 방지.
- 선반입권 활용: 신항에서 긴급 상황 시 비용을 감수하고 기한 연장.
실제로 이런 오류가 뜨기때문에, 조심해야한다.
5. 결론: 효율적인 물류 관리
신항과 북항의 반입제한은 물류 업무의 핵심 변수입니다. 장치장 코드를 숙지하고, 일정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하면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어요. 수출입 화물에 관심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세요!
'포워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실무] 서렌더와 웨이빌, 그리고 오비엘 (0) | 2025.04.12 |
---|---|
[무역 실무] 프리타임과 DEM, DET 그리고 전기료 (0) | 2025.04.05 |
[무역 실무] 냉동 컨테이너와 PTI (0) | 2025.03.22 |
[무역 실무] 인천항 및 광양항 터미널 반입제한: 장치장 코드와 비교 분석 (0) | 2025.03.15 |
[무역 실무] 초저온 컨테이너, 그리고 참치 수출 (1)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