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
-
[무역 실무] 냉동 컨테이너와 PTI
PTI(Pre Trip Inspection),콜드체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어특히나 냉동 수출을 많이 한 나로써는 수 없이 많이 들은 단어이다.해당 일정으로는 컨테이너 PTI가 안돼서 선적 불가합니다.PTI 되었나요?O월 O일자 픽업으로 PTI 부탁드려요 등등PTI라는 말을 쓰지 않는 날이 손에 꼽을 정도이다.실제로 이런 메일을 밥먹듯이 쓴다.Pre Trip Inspection 여행이전의 검사, 즉 해당 컨테이너가 선적되기 전에 행해지는 검사라는 뜻이다.해상수출은 기본적으로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냉동 컨테이너가 잘 작동되는지는 아주 중요하다. 도중에 컨테이너가 고장이라도 난다면 내품은 다 녹아버리고녹아버린다는 건 즉 가치가 없어진다는 걸 의미하고, 녹은 내품 때문에 컨테이너 수리비도 내야하며..
2025.03.22 -
[물류 트렌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선박 수수료: 물류업 타격과 대응 전략
2025년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중국 선박 수수료 정책으로 글로벌 물류업이 시끌시끌합니다. 미 무역대표부(USTR)의 새로운 조치가 중국 선사와 화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대처 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1. USTR의 중국 선박 수수료 정책이란?2025년 2월 21일, USTR은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에 대해 다음과 같은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중국 선사 소속 선박: 입항 시 100만 달러.중국산 선박: 150만 달러 추가 요금.중국 조선소 신규 주문 선박: 소유 선사에 100만 달러 부과.이 요금은 미국 내 각 항구에서 적용되며, 중국의 조선업 우위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연간 5척 미만의 선박을 건조하는 데 반해, 중국은 1,700척 이상을 생산하며 시장을..
2025.03.19 -
[무역 실무] 부산 신항 및 북항 터미널 반입제한: 장치장 코드와 대응 팁
부산항은 한국 수출입 물류의 핵심 허브입니다. 신항과 북항 터미널의 반입제한과 장치장 코드는 물류 업무에서 절대 놓쳐선 안 되는 요소죠. 모선 접안 일정은 날씨, 선석 혼잡 등으로 변동이 잦아, 반입 일정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터미널별 반입제한 정보와 실무 팁을 정리했습니다.1. 신항 터미널 반입제한 및 장치장 코드부산 신항의 주요 터미널별 반입제한과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DGT (동원글로벌터미널)장치장 코드: 03077135반입제한: 없음 / GOODPNIT (부산신항국제터미널)장치장 코드: 03077013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3일PNC (부산신항만 주식회사)장치장 코드: 03077102반입제한: 드라이 4일 (일요일 제외, 예: 화요일 접안 → 금요일 반입 가능), 리퍼 3일 ..
2025.03.15 -
[무역 실무] 인천항 및 광양항 터미널 반입제한: 장치장 코드와 비교 분석
1. 인천항 터미널 반입제한 및 장치장 코드인천항(구항)의 주요 터미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SNCT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장치장 코드: 02012014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10일E1CT (E1 컨테이너터미널)장치장 코드: 02012007반입제한: 없음 / GOODHJIT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장치장 코드: 02012016반입제한: 드라이, 리퍼 7일ICT (PSA 인천 컨테이너터미널)장치장 코드: 02077002반입제한: 없음 / GOOD인천항의 장점부산 신항/북항의 34일 반입제한과 비교하면, 인천항은 **7일10일** 또는 제한 없는 터미널이 많아 물류 계획에 여유를 줍니다.2. 광양항 터미널 장치장 코드광양항의 주요 터미널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반입제한 정보는 추가 확인 필요):GWCT ..
2025.03.15 -
[무역 실무] 초저온 컨테이너, 그리고 참치 수출
컨테이너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다.오픈탑, 드라이, 리퍼, 고온컨테이너 기타 등등현업에 들어가면 아주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수출하고 수입하는 만큼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컨테이너를 마주할 수 있다.오늘 다뤄볼 것은 초저온 컨테이너, 영어로는 SUPER FREEZER, ULTRA REFEER 등등의 이름으로 불리며이 컨테이너는 -60'C까지 온도로 내품을 유지할 수 있다.사실 이 컨테이너의 용도는 아주 단순하다.사실 -60'C의 온도로 유지가 필요한 상품은 많지 않다. 대표적으로는 참치, 백신 그중에서도 대부분 참치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번외로 가까운 거리 POL(도착지)로 가는 시간(T/T)가 10일 이내로 걸리는 경우는매그넘 플러스 컨테이너로 선적을 하기도한다. 매그넘플러스는 -40'C 까지 내려간다...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