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트렌드] 2025년 해상운임지수(SCFI) 동향 및 글로벌 컨테이너 시장 분석/08.21

2025. 8. 22. 09:00물류

📊 SCFI 10주 연속 하락, 글로벌 수급 불균형 심화

최근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10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미주·유럽항로 모두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수급 불균형, 재고 확보 후 구매심리 전환, 단기 수요 반등 요인 실종 등이
하락 흐름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요 이슈영향
미중전선 90일 추가 연장 구매심리 위축, 운임 하락 지속
단기 수요 반등 제한 연간 단일 입찰 하락폭 반영
상하이 7월 처리량 감소 전년 대비 -3.5%, 연간 누적 -1.7%
항만 물류 전망 지속적 부진, 소비심리 악화

핵심 요약: SCFI는 10주 연속 하락하며, 글로벌 컨테이너 시장의 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미주항로 동향

  • 미 동서안 5주 연속 하락, 단기 수요 반등 요인 실종
  • 수급불균형 심화, 운임 3년 만에 최저치
  • 2025년 하반기 수입량 급감 전망(8월 -5%, 9월 -19.4%, 10월 -18.7%)
  • 동서안 운임 전년 대비 34% 하락, 추가 하락세 예상
  • 연간 단일 입찰 하락폭이 시즌오픈 전부터 반영
 
항목수치/현황
7월 미국 컨테이너 수입 260만 TEU(사상 최고치, 전월 대비 17.5% 증가)
서안 항만 전월 대비 3% 반등, 전년 대비 6% 감소
동안·인도·멕시코 동안 24% 증가, 인도/멕시코 21% 증가
연말 전망 관세 활성화로 수입 증가세 둔화 예상

핵심 요약: 미주항로는 수급불균형과 소비심리 악화로 운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유럽항로 동향

  • 3주 연속 하락, 수요 정체·공급 증가는 계속
  • 12항차 운임 이집트·북아프리카 집중 축소, 수에즈 운하 영향
  • 유럽 경기 둔화, 소비심리 악화로 수요 약세
  • 대형 선사 신규 선박 투입(하반기 7,400만 TEU 규모), 공급 확대
  • 경기 회복 기대는 제한적
 
항목수치/현황
유럽 경기 성장률 0.4% 예상
신규 선박 투입 7,400만 TEU(하반기까지)
운임 전망 하락세 지속, 공급 과잉

핵심 요약: 유럽항로는 공급 확대와 수요 약세가 겹치며 운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연근해·기타 항로 동향

  • 동남아 8주 연속 하락, 경쟁 심화로 약세
  • 서남아/중동항로 점유율 1위: COSCO 12.7%
  • 아시아·해외 선사 확대, 선박 대형화로 공급과잉 심화
  • 연내 내셔널 선사에는 위협 요인
 
항목수치/현황
동남아 항로 8주 연속 하락
서남아/중동 점유율 COSCO 12.7%, MSC 8.8%, CMA CGM 8.5%
선박 대형화 5.4만 TEU, 중소형 4.5k TEU

핵심 요약: 연근해 및 기타 항로 역시 공급과잉과 경쟁 심화로 운임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태평양 항로·관세 효과 및 프론트로딩 이슈

  • 관세 효과 종료, 태평양 항로 운임 또 하락
  • 상하이-북미서안 운임: FEU당 1,759달러, 북미동안 운임: 2,719달러(2023년 12월 이후 최저)
  • 수요 회복은 당분간 제한적
  • 아시아-유럽 항로는 7월 피크 시즌 진입으로 견조했으나 최근 하락세 전환

핵심 요약: 관세 효과 소진과 프론트로딩 종료로 태평양 항로 운임이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 결론: 2025년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 약세 지속 전망

  • SCFI 등 주요 운임지수 하락세 지속
  • 미주·유럽·동남아 등 주요 항로 모두 수급불균형 심화
  • 공급 확대, 소비심리 악화, 관세 효과 소진 등 복합적 요인
  • 연말까지 운임 약세와 시장 부진 전망